[NestJS] SSE를 활용한 알림 기능 구현
처음 초심자가 NestJS를 사용하여 SSE를 사용한 계기는 지금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알림기능을 그것도 NestJS를 사용해서 작성을 해야한다고 했을 때부터 여러 검색을 통해 알아낸 자료들을 바탕으로 작성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처음에 알림기능이라고 했을 때의 나의 기초적인 생각과 이것저것 주워 담아 들었던 이야기로는 나만의 말로 이야기하자면 크게 두가지라고 말해두고 싶다.
데이터 소멸성 -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지 않는다. 이유는 알림이라는 것 자체가 중요하게 무언가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수정 및 삭제를 하지 않고 "알림"이라는 것 자체로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는 느낌을 받았다.
서비스 제공 - 알림이라는 것을 생각했을 때 내가 사용자 입장이라고 생각한다면 나는 알림을 받을 뿐이지 보내거나 저장을 따로 해두지 않는다.
SSE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팀장을 통해 알게 되었다. 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알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셨고 기능적으로 알림을 삭제를 담당하여 진행하셨던 것으로 알고 있다.
SSE의 장단점과 특징
- 단방향 통신이다.( 서비스 제공 )
- 데이터 전송 제한(텍스트 데이터만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소멸성
-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끊겨도 알 수 없다.(데이터 소멸성)
이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내가 생각한 알림기능과 SSE의 장단점과 특징을 비교해 보자면 비슷한 부분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내가 찾아본 알림 기능에 관한 여러 사이트를 추천한다.
[Nest.js] SSE를 이용하여 알림 기능 구현
이번 프로젝트에서 알림기능을 도입하게 되었는데, 먼저 떠오른건 소켓통신이다. 알림기능이란 것은 결국 이벤트가 발생했을때 클라이언트로 부터 별도의 요청없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메
velog.io
[NODE] 📚 Server Sent Events 💯 정리 (+사용법)
SSE - Server Sent Events 란? SSE는 서버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Streaming 하는 기술 이다. SSE는 웹 표준으로써 IE를 제외한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며, IE역시 polyfill을 통해 지원이 가능하
inpa.tistory.com
https://velog.io/@erictomi/NestJS-SSE
NestJS - SSE
해당 글은 NsetJS SSE 시스템 구축에 대한 예제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이다참고로 본인은 처음 기술에 대해 접하면서 공식문서를 잘 살펴보지는 않는 편이다 (고쳐야됨..)따라서 처음으로 공식문서
velog.io